본문 바로가기

관절건강 필독

(수술장면有) 무릎 관절염에 대한 증상과 치료 방법

무릎 관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절염은 세 가지 기본 유형이 있습니다.

 

 

1. 관절염의 종류

1) 퇴행성 관절염

골관절염(OA)는 무릎 관절염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관절 연골이 점차 마모됩니다.

 

천천히 진행되는 퇴행성 질환이며

대부분 중년 및 노년층에 흔히 나타나게 됩니다.

 

 

2) 류마티스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RA)은 자가면역항체가

자기 관절을 공격하여

관절 연골을 파괴하는

염증성 관절염의 유형입니다.

 

주로 30대 중년 여성에서 잘 발생하는 관절염입니다.

류마티스 관절염는 일반적으로

양측 무릎 관절에 발생하며

또한 다른 관절에도 동반합니다.

 

 

3) 외상 후 퇴행성 관절염

외상 후 관절염은

무릎 부상 이후에 발생하는 관절염으로

골관절염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지만

골절, 인대 손상 혹은 반월상 연골 손상 후

수년 후에 발생하게 되는 관절염입니다.

 

 

 

2. 관절염의 증상

증상은 갑자기 발생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관절염의 통증은

점진적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강직되고 부기가 생겨

무릎 관절을 굴곡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나타나게 됩니다.

 

퇴행성 관절염의 통증은

활동 후에 증가하는 양상이기에

잠잘 때 아프게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즉 걷거나 뛸 때 심해지며

안정 시에는 완화되는 양상입니다.

 

그러나 류마티스 관절염은

다발성 관절염으로 통증이

여러 관절에 나타나며

활액막염이 동반되어

많이 붇고 또한

아침에 손가락들의 강직이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입니다.

 

3. 관절염 보존적 치료

치료의 목적은 통증을 줄이고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있습니다.

 

무릎의 관절염의 초기 단계의 경우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게 되며

보존적 치료 방법은

약 4가지 방법으로 나뉘게 되며 다음과 같습니다.

 

1) 생활습관 변경

체중 감소시키고, 달리기 운동이나,

무릎 악화시키는 운동은 피하는 등

생활 습관의 변경이 필요합니다.

 

단순한 체중 감소만으로도

관절의 부하가 상당히 감소되어 통증을 줄일 수 있고,

평지 걷기 등으로 그 기능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2) 운동

운동은 하지의 근력을 강화시킬 뿐 아니라

관절 운동 범위를 증가시키고

관절의 유연성을 향상시킵니다.

 

물리 치료와 재활 운동은

통증을 경감시키고 관절의 기능을 향상시키게 됩니다.

 

3) 보조기

무릎 보호대나 충격흡수신발 혹은

지팡이 같은 같은 보조 기기들은 도움이 됩니다.

 

최근에는 한쪽 관절 중앙에 생긴

관절염에 보조기가 도움이 된다는 연구 보고도 있었습니다.

보조기는 무릎의 안정성을 도와주고

기능을 보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4) 약물치료

무릎 관절염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여

러 종류가 있지만

모든 사람이 약물에 대한 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모두 다른 약이 처방되게 됩니다.

 

프로테오글리칸, 2형콜라겐은

연골의 핵심 성분으로

관절염 초기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관절염 통증에 의한 약물은

보스웰리아, 커큐민, 초록입홍합 등이

일반적인 약물입니다.

 

5) 기타 방법

온찜질 혹은 냉찜질,

물에서의 운동, 압박 붕대 등이 있습니다.

 

 

 

 

* 출처: 대한고관절학회, 무릎 관절염